보령사랑
겨울철 적정 온도 본문
겨울철 적정 온도
한국,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등의
전문가들은 겨울철의 적정 실내 온도를
18~20도, 실내 습도는 40% 이상을 권장한다.
하지만 겨울철 인체 최적 온도는 23~24도이다.
인체 최적 온도와 적정 실내 온도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https://blog.kakaocdn.net/dn/Ytl8c/btqS3Im3lmO/RikATwTvMAACT8hGkkQeG1/img.png)
이는 사람이 쾌적함을 느끼는 온도는 의복, 기후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똑같은 온도라도 습도나 바람, 옷에 따라서
더 춥게 느껴지기도하고, 덜 춥게 느껴지기도 한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18~20도가 적정 실내 온도인
이유는 그 안에 생활하는 사람이 적절한 의복을
착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m5JvS/btqS9Zhdyiq/aEkOfISwkDIwqXMFLSlvs0/img.png)
겨울에 사람들은 여름보다 기본적으로
옷이나 양말 등이 두꺼워지고
내복을 입는 경우도 많다.
얇은 옷이나 내복을 겹쳐서 입게 되면
5도 정도의 온도 상승효과가 있기 때문에
실내 온도가 18~20도이면 사람이 느끼는
온도는 23~24도 정도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이 호흡 등으로 쾌적감을 갖는
온도는 실내 20도 정도가 적당하다.
만약에 20도 이상의 온도에 습도까지
높게 되면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등이
잘 발생하는 한경이 되기 때문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더 좋지 않다.
![](https://blog.kakaocdn.net/dn/bDhCwf/btqS4LYeyBN/YcthI8DE5jNNmlGD8TP0iK/img.jpg)
다만, 노인들이나 만성심혈관계질환자,
만성호흡기계질환자, 만성진부전환자,
당뇨병환자들은 날씨가 추워지게 되면
혈관이 수축하여 혈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뇌출혈, 노졸중, 심장마비 등의 위험이
높아지기 대문에 실내온도 26~28도에
습도 40~5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https://blog.kakaocdn.net/dn/2irST/btqS4MCJH8D/dbCYB7U0ck8K4C5QDnUBf1/img.png)
그리고 추위를 이기기 위해서
음주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알코올은
체온을 더 빨리 떨어뜨리기 때문에
체온을 올리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층간소음 갈등. 예방과 대처 (7) | 2021.01.13 |
---|---|
서울 성북구 도로열선 (7) | 2021.01.13 |
지하 주차장과 야외 온도 차이 (8) | 2021.01.11 |
겨울철 정전기 예방 (6) | 2021.01.11 |
구글애드센스와 네이버검색 변화 (8) | 2021.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