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사랑

플라시보 효과과 노시보 효과 본문

생활정보

플라시보 효과과 노시보 효과

보령사랑 2021. 2. 16. 10:31
반응형

플라시보 효과와 노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는 의약적 가치가 없는 치료제가 긍정적인 효과를 내는 것을 말한다. 식염수 주사를 맞거나 설탕 알약을 복용한 환자들이 호전반응을 느낄 때가 있는데, 이런 효과는 특히 편두통이나 허리 통증, 우울증 같은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하는 증상에서 나타난다. 약물 요법이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플라시보 효과가 크게 작용한다.

 

 통증 의학에서 플라시보 효과는 부분적으로 뇌 화학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통증을 경험하면 뇌는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엔도르핀이라는 모르핀과 같은 작용을 하는 천연 화학물질을 분비한다. 뇌 영상을 촬영해본 결과, 가짜 약을 효과가 좋은 약이라고 생각하고 복용하면 뇌에서 엔도르핀을 분비한다. 신경학적으로 진짜 약을 복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비교적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플라시보 효과 못지않게 강력한 노시보 효과(Nocebo effect)라는 것이 있다. 환자에게 약을 주면서 부작용을 경험할 것 이라고 말하면 그 환자는 의학적인 근거가 없는데도 실제로 부작용 증상을 보인다. 한 연구에서 사람들에게 설탕 알약을 주면서 구토를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다고 말했는데, 그들 중 80%가 나중에 구토를 하기 시작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똑같은 약물 치료를 받더라도 자신이 심장마비로 죽게 될 것이라고 믿는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심장마비로 상망할 확률이 네 배나 높았다. 아프다고 생각하면 실제로 아플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 의료 분야에서는 플라시보 효과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우울제에 관한 임상 연구에서 플라시보에 대한 반응 비율이 10년마다 7%씩 증가하고 있다. 

1980년 가짝 약을 처방받은 우울증 환자 가운데 30%가 다른 치료가 병행되지 않았는데도 호전되었다. 2000년에는 44%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이런 변화는 약에 대한 대대적은 광고와 높아진 기대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살마들은 20년 전보다 정신의학적 치료를 더 신뢰하고 있다. 그 결고 플라시보가 더 강력한 효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728x90
300x250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I, TMT의 뜻  (3) 2021.02.22
줄기세포  (5) 2021.02.17
백신의 정의, 유래, 화이자백신  (1) 2021.02.04
조두순 120만원 복지급여 수령  (1) 2021.02.04
이웃집 토토로와 스마이즈  (0) 2021.02.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