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MI, TMT의 뜻
TMI
Too Much Information의 준말이다.
달갑지 않은 정보, 굳이 알고 싶지 않은 이야기를
듣게 되는 경우 사용된다.
의도하지 않게 다른 사람의 정보를 너무 많이 알게 되어
사소한 것까지 알게 되는 경우 사용하는
Too much information 즉 너무 과한 정보이다.
TMI는 보통 관심 없는 내용이거나, 달갑지 않은 정보,
굳이 알지 않아도 되는 이야기를 듣게 되는 경우
사용하게 되는데 이 표현은 영어권 국가에서는
2000년대부터 사용된 인터넷 용이이다.
우리나라는 2017년 하반기에 SNS에서 처음
사용되어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다만, 영어권 국가에서는 TMI를 과도한 정보라는
뜻보다는, 과한 성적인 농담을 상대방이 들었을 때
불쾌한 감정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TMT
Too Much Talker의 준말이다.
즉, 필요외에 쓸데없는 말을 너무 많이 하는 사람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서 TMT의 대표적인 사람은
박찬호인데 팬들에게 친절하고 소통을
좋아하기 때문에 팬들이 지어준 자랑스러운
별칭이라고 한다.
정준호 또한 박찬호 못지않은 투머치 토커인데
심지어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에서까지
투머치 토커라고 한다.
728x90
300x250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시대의 역설 - 제프 딕슨- (3) | 2021.03.17 |
---|---|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3) | 2021.02.27 |
줄기세포 (5) | 2021.02.17 |
플라시보 효과과 노시보 효과 (4) | 2021.02.16 |
백신의 정의, 유래, 화이자백신 (1) | 2021.02.04 |